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 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칠판에 적은 두 수 A와 B가 주어진다. 두 수는 같지 않은 세 자리 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상수의 대답을 출력한다.
코드
A,B=input().split()
rA=int(A[::-1])
rB=int(B[::-1])
if rA>rB :
print(rA)
else :
print(rB)
관련 개념 정리
input
파이썬에서는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때 input함수를 사용합니다.
입력받은 값을 넣을 변수 이름 = input("띄울 메세지")
단! input함수는 입력받은 모든 내용을 문자열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입력받은 내용을 정수로 변환하려면
d = int(input())
와 같은 형태로 작성하거나, 나중에 변수를 사용할때
print(int(d)+2)
와 같이 int()로 감싸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split
또한 값을 입력받을 때, 한 번에 여러 값을 입력받을 수 있습니다.
그때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바로 split 함수입니다.
split할 변수 이름.split('구분자')
만약 split()일 경우, space, tap, enter와 같은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눕니다.
슬라이싱
슬라이싱은 리스트나 문자열, 튜플을 사용자가 지정한 만큼 잘라서 반환해주는 기법입니다.
리스트or문자열or튜플[start:stop:step]
step은 default값이 1이 되고, 만약 -1이 된다면 자료를 뒤에서 부터 탐색하기 시작합니다.
start, stop값이 들어갈 부분을 비우고 : 만 쓸 경우는 start=0 stop=자료의 맨 끝index이 됩니다.
if문
<조건> 하면, <코드>를 실행하고 싶을때 쓸 수 있는것이 바로 if문입니다.
기본적인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if 조건문 1:
실행 코드 1 ...
elif 조건문 2:
실행 코드 2 ...
else:
실행 코드 3 ...
해석을 하자면, 조건문 1을 충족하면 실행 코드 1을 실행하고, 그게 아닌 조건문 2를 충족하면 실행 코드 2를 실행한다.
조건문 1과 조건문 2를 모두 충족하지 않으면 실행 코드 3을 실행한다. 입니다.
elif와 else는 필수는 아닙니다.
'코딩공부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풀이] 백준 2941.크로아티아 알파벳 (0) | 2021.12.05 |
---|---|
[파이썬 풀이] 백준 5622.다이얼 (0) | 2021.12.05 |
[파이썬 풀이] 백준 1152.단어의 개수 (0) | 2021.12.01 |
[파이썬 풀이] 백준 1157.단어 공부 (0) | 2021.12.01 |
[파이썬 풀이] 백준 2675.문자열 반복 (2) | 2021.11.29 |